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4년 베트남 냉연강판 시장동향

베트남 KOTRA 2024/06/14

한국, 중국에 이어 베트남 수입시장서 2위

철강산업 침체, 무역구제 조치 등 현지 최신 동향 사전 점검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시장 규모


베트남 철강협회(Vietnam Steel Association, VSA)는 베트남의 주요 철강 기업 103개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2023년 기준 VSA 회원사의 냉연강판(Cold Rolled Coil 또는 Cold Rolled Steel Sheet)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8% 감소한 337만 톤을 기록했다. 판매량은 전년 대비 3.5% 감소한 195만 톤을 기록했으며, 이 중 수출량은 전년 대비 4.3% 감소한 44만9000톤을 기록했다. 2021년 이후 생산, 판매, 수출이 모두 지속 감소하고 있고, 2023년에는 생산, 판매, 수출이 모두 최근 5개년 중 가장 저조했다.

 

한편, 베트남에서 냉연강판이 전체 철강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철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베트남 철강협회의 2023년 기준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의 냉연강판 생산량은 베트남의 총 철강 생산량(2,776만 톤)의 12.1%이다.

 

시장 동향

 

최근 베트남의 냉연강판 시장은 수요는 감소한 데 반해 원자재 가격 변동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커져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2년 2분기 이후 베트남 주거용 부동산 시장은 침체 국면이라는 분석이 많은데 냉연강판은 건설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대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철광석, 고철, 흑연, 유연탄 등 철강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가격 관련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예컨대, 2023년 기준 철강 원자재 가격은 분기별로 ‘상승–하락–안정화–상승’의 흐름을 보여주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가격 변동 추이는 많은 전문가들의 예측을 빗나간 것이었다.

 

베트남 철강 시장은 중국 철강 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장기 침체로 중국 내 철강 재고가 많아졌고, 이에 중국의 철강 제조업체들은 내수 시장 부진을 만회하고자 베트남 등으로 수출을 늘려 왔다. 그런데 베트남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중국산 철강 제품은 관세를 적용받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한 중국산 철강과의 직접적인 경쟁과 베트남의 내부적인 철강 공급 과잉은 베트남 철강 업계에 상당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입산 열연강판이 문제시되고 있다. 냉연강판은 열연강판(Hot Rolled Coil 또는 Hot Rolled Steel Sheet)의 냉간압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따라서 열연강판이 냉연강판의 생산 및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베트남산 열연강판보다 저렴한 수입품이 많아 여전히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다. 베트남 관세총국에 따르면, 실제로 2024년 1분기 열연강판(HRC) 수입량은 베트남 국내 생산량의 약 1.5배에 달하는 300만 톤으로 추정되며, 이 중 중국과 인도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75%를 차지한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열연강판 가격은 물론 냉연강판의 가격까지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는 올 4월 베트남의 주요 열연강판 제조업체로부터 수입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 검토를 위한 조사 착수 요청을 받기도 했다.

 

수입 동향

2023년 베트남의 냉연강판 수입액(HS코드 7219.33 및 7219.34 기준)은 2억 3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0.1%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5개년(2019~2023년) 중 최저 수준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 기업들의 냉연강판 생산, 판매, 수출도 부진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입 감소는 철강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편, 품목별로는 HS 코드 7219.34가 7219.33에 비해 매년 더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7219.34 품목은 전체 냉연강판 수입의 58.9%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두 품목(HS코드 7219.33 및 7219.34) 모두 중국이 가장 많이 베트남에 수출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에 반해 한∙중∙일 외 다른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미미하다. 두 품목의 수입 규모를 합산할 경우 2023년 기준 중국산은 61.9%, 한국산과 일본산의 비중은 각각 24.5% 및 8.1%이다.

 

대(對)한 수입 동향



베트남의 한국으로부터의 냉연강판 수입액은 2023년 총 4,9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7.8% 감소했으며, 전체 수입 시장에서 한국은 중국에 이은 2위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수입액이 매년 증가했으나, 2022년부터 감소세에 접어들어 2023년에는 최근 5개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최근 5개년 중 2019년을 제외하고는 7219.34품목이 7219.33품목에 비해 더 많이 수입되었다.

 

경쟁 동향

 

포스코의 베트남 법인인 포스코 베트남과 포스코 VST의 연간 냉연강판 생산능력은 총 1,435만 톤으로 알려져 있다. 두 기업의 제품은 베트남 내수시장에서도 판매되지만, 중국,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로 수출도 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냉연강판 기업으로는 연간 냉연강판 생산능력이 약 100만 톤에 달하는 현지 기업 Hoa Sen, 베트남 최대 철강 기업 Hoa Phat 등이 있다.


생산구조


냉연강판은 철강 생산 체인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냉연강판 제조업체는 열연강판을 자체 조달하거나 베트남 현지 또는 외국의 열연강판 제조업체로부터 열연강판을 공급받는다. 열연강판이 상온에서 표면 처리된 후, 정밀 기계로 더 얇게 눌러 표면이 미려하게 되는 냉간압연 가공 과정을 거치면 냉연강판이 된다. 이렇게 생산된 냉연강판은 주로 건축내·외장재 등 산업재로 사용되며, 식기, 핸드폰 등 다양한 소비재의 핵심 소재로도 사용된다.

 

관세율 및 규제 정보

베트남에서 철강은 반덤핑 조사와 연관이 깊다. 베트남이 외국산 철강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하는 경우도 많고, 반대로 베트남산 제품이 외국 정부에 의해 반덤핑 조사를 받는 경우도 많다. 현재 베트남은 아래와 같이 일부 외국산 스테인리스강 냉강압연 제품(번호: AD01)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에서는 국가기술규정(QCVN)과 국가기술표준(TCVN)의 차이에 항상 유의해야 한다. 기술규정은 의무 적용, 기술표준은 자율 적용이다. 냉연강판과 관련된 기술표준은 아래와 같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한국은 베트남의 냉연강판 수입 시장에서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품질 개선에 나선다면, 다른 주요 수출국과의 격차를 벌리면서 동시에 저렴한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을 극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기대해볼 수 있다. 다만, 냉연강판 등 주요 철강 품목에 대해서는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펴는 사례가 많다. 베트남의 냉연강판 및 베트남에 수입되는 냉연강판에 대해서도 무역규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우리 철강 수출기업들은 베트남 무역구제청(클릭),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 클릭) 등 현지 주요 기관이나 KOTRA 하노이 FTA해외활용지원센터 및 호치민 FTA해외활용지원센터를 통해 베트남의 무역구제 조치 관련 최신 현황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작성자: Tang Thi Thanh Lam

자료: 베트남 철강협회, ITC Trade Map, 베트남 관세총국, 베트남 무역구제청, 베트남 표준계량품질국,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