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러시아 PET시장 생산 현지화로 설비·원부자재 수출 호기

러시아 KOTRA 2016/03/02

러시아 PET시장 생산 현지화로 설비·원부자재 수출 호기

 

 

 

 시장 개황

 

 ○ Europlast사(http://www.europlast.ru/)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 PET시장은 전년대비 약 1.9% 성장한 약 60만 톤(약 15억 달러)으로 예측됨.

 

 ○ 합성수지분야는 우리의 대러시아 수출 3대 품목 중 하나로, 현지에서 꾸준한 수요를 보이는 분야임. 러시아는 수요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PET 시장은 크게 PET병, PET섬유, PET필름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러시아 PET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세계시장 구조와 달리 대부분의 소비가 PET 병에 치중돼 있다는 것임.

 

2013년 세계 PET 시장구조

2013년 러시아 PET 시장구조

자료원: http://www.creonenergy.ru

 

 PET병(preforms for bottles)

 

    

자료원: http://upakovka.jofo.ru, http://static.zebra.lt

 

 ○ 러시아 PET시장의 총 94%를 차지하는 PET병 분야는 시장발전의 주 원동력이며, 유리병이나 캔 재료에 비해 가격경쟁력 및 내구성 등을 갖추고 있어 음료용기로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음.

 

 ○ PET병 재질이 전체 맥주 포장재에서 40%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덕분에 맥주분야의 경우 러시아 전체 PET병 시장에서 30% 높은 점유율을 보임.

 

러시아 PET병 수요구조

러시아 포장재별 맥주 생산 구조

자료원: www.mrcplast.ru/pages/annual-reports.html

 

 ○ 러시아 PET병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현재까지 많은 유럽 PET병 생산장비 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진출했음.

   · (Nestal Machinery Ltd.(Switzerland), Hasky(Canada), Nissel ASB GmbH(Germany), Steca(France), BM BIRA GNI(Italy), Gerosa(Italy), Gefit(Italy) 등

  - 최근 러시아와 서방의 갈등이 심화되고 달러와 유로의 환율상승으로 유럽산 장비의 가격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져 한국 PET병 생산장비 기업에는 오히려 호기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임.

 

 ○ 한편, 러시아 정부는 국민들의 주류 소비를 줄이고자 현재 1.5~3ℓ까지 생산되는 PET병 맥주의 생산을 2016년 7월부로 1.5ℓ 이하로만 생산하게 하는 법안 상정을 추진 중임. 이 법안의 상정 및 통과 여부가 향후 러시아 PET병 시장에 어떠한 영향(러시아 정부의 의도대로 맥주소비가 줄어들 경우 PET병 시장에 부정적 영향 또는 오히려 소비자들의 구매수량이 늘어날 경우 PET병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됨.

 

러시아 주요국별 PET병 수입액 통계(HS Code 392330 기준)

            (단위: 달러, %)

 

국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72,503,618

142,510,673

141,677,237

100.00

100.00

100.00

-0.58

1

벨라루스

85,892

64,475,169

58,907,371

0.12

45.24

41.58

-8.64

2

폴란드

15,325,862

17,267,725

16,781,695

21.14

12.12

11.85

-2.81

3

우크라이나

13,023,595

15,599,884

15,537,918

17.96

10.95

10.97

-0.40

4

독일

11,648,192

11,122,394

11,583,584

16.07

7.80

8.18

4.15

5

중국

8,771,696

7,166,906

7,407,523

12.10

5.03

5.23

3.36

6

이탈리아

2,206,266

2,789,104

4,298,090

3.04

1.96

3.03

54.10

7

프랑스

2,406,595

2,166,300

3,114,011

3.32

1.52

2.20

43.75

8

오스트리아

2,066,388

3,293,814

2,878,997

2.85

2.31

2.03

-12.59

9

체코

716,862

2,336,744

2,805,789

0.99

1.64

1.98

20.07

10

영국

2,150,079

1,914,583

2,003,186

2.97

1.34

1.41

4.63

20

대한민국

295,657

177,357

678,663

0.41

0.12

0.48

282.65

주: HS Code 392330(Carboys, Bottles, Flasks and Similar Articles, Of Plastic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러시아 주요국별 PET병 수입량 통계(HS Code 392330 기준)

            (단위: 톤, %)

 

국가

수입량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2,874

28,719

28,571

100.00

100.00

100.00

-0.52

1

벨라루스

43

14,272

13,398

0.34

49.70

46.90

-6.12

2

폴란드

2,949

3,301

3,371

22.90

11.49

11.80

2.10

3

우크라이나

2,538

3,150

2,510

19.71

10.97

8.79

-20.32

4

독일

1,421

1,370

1,728

11.04

4.77

6.05

26.07

5

오스트리아

725

1,204

1,140

5.63

4.19

3.99

-5.28

6

중국

1,207

940

1,007

9.38

3.27

3.53

7.19

7

체코

268

691

838

2.08

2.40

2.93

21.42

8

리투아니아

459

597

618

3.56

2.08

2.16

3.39

9

프랑스

326

358

573

2.53

1.25

2.00

60.08

10

이탈리아

211

293

520

1.64

1.02

1.82

77.58

23

대한민국

68

57

64

0.53

0.20

0.22

12.67

주: HS Code 392330(Carboys, Bottles, Flasks and Similar Articles, Of Plastic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PET섬유(fibers)

 

자료원: http://www.technicaltextile.net

 

 ○ 러시아 PET 섬유시장은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PET섬유 주요 수출국인 우리나라에는 아직 유망한 시장이나, 최근 현지 생산을 위한 여러 투자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어 향후 추이를 신중히 관망할 필요가 있음. 그 예로, 2015년 10월 말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회의 '화학과 화학산업'에서 러시아 거대 석유기업 Tatneft사(http://www.tatneft.ru/)는 Stavropol 지역에 PET섬유 생산시설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밝힘.

 

 ○ PET섬유 관련 최대 프로젝트는 러시아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이바노스카야 지역에서 계획됨. 이 지역에 18만 톤급 PET섬유 산업클러스터가 지어질 예정이며, 이 중 5만 톤은 이 클러스터 내에서 사용되고 나머지 13만 톤은 러시아 내 다른 섬유 생산자에게 판매되거나 해외수출용 등으로 사용될 예정임.

  - PET섬유 생산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1단계 투자로 약 100억 루블(약 1억3300만 달러)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되며, 생산을 위한 기술과 장비 등은 수입할 예정임. 현재 스위스에서 이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이고, PET섬유 생산용 원부자재 등은 중국, 한국, 폴란드 등에서 수입할 계획으로 알려짐.

 

러시아 주요국별 PET섬유 수입액 통계(HS Code 550320 기준)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25,521,944

200,944,269

177,383,914

100.00

100.00

100.00

-11.72

1

중국

57,061,506

76,744,346

74,084,569

45.46

38.19

41.77

-3.47

2

대한민국

39,246,576

44,383,083

38,220,138

31.27

22.09

21.55

-13.89

3

벨라루스

0

39,710,145

32,540,919

0.00

19.76

18.34

-18.05

4

대만

15,340,595

18,185,865

14,724,618

12.22

9.05

8.30

-19.03

5

우즈베키스탄

51,991

2,139,597

6,103,128

0.04

1.06

3.44

185.25

6

태국

917,461

4,092,316

3,748,208

0.73

2.04

2.11

-8.41

7

이탈리아

6,112,835

8,227,815

3,138,653

4.87

4.09

1.77

-61.85

8

우크라이나

1,678,676

2,921,916

2,281,694

1.34

1.45

1.29

-21.91

9

독일

688,987

751,052

832,077

0.55

0.37

0.47

10.79

10

인도네시아

1,084,821

229,453

484,807

0.86

0.11

0.27

111.29

주: HS Code 550320(Synthetic Staple Fibers, Of Polyester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러시아 주요국별 PET섬유 수입량 통계(HS Code 550320 기준)

                        (단위: 톤, %)

 

국가

수입량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89,742

124,316

115,516

100.00

100.00

100.00

-7.08

1

중국

41,446

47,752

47,975

46.18

38.41

41.53

0.47

2

대한민국

28,118

27,990

24,862

31.33

22.52

21.52

-11.18

3

벨라루스

0

23,313

20,526

0.00

18.75

17.77

-11.95

4

대만

11,057

11,098

8,978

12.32

8.93

7.77

-19.10

5

우즈베키스탄

40

1,959

5,911

0.04

1.58

5.12

201.78

6

태국

684

2,527

2,422

0.76

2.03

2.10

-4.16

7

이탈리아

3,847

5,141

1,844

4.29

4.14

1.60

-64.13

8

우크라이나

1,395

2,056

1,743

1.55

1.65

1.51

-15.23

9

독일

214

225

323

0.24

0.18

0.28

43.55

10

인도네시아

789

76

263

0.88

0.06

0.23

243.53

주: HS Code 550320(Synthetic Staple Fibers, Of Polyester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PET 필름(Film)

 

자료원: http://pozmir.ru

 

 ○ PET시장 중 PET 필름 분야는 지난 10년간 가장 크게 성장함. PET 필름 시장은 많은 양을 수입에 의존하는데, 10년 전까지만 해도 100%를 수입에 의존하던 러시아 PET시장은 2008년 단열필름이 러시아 현지에서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약 60%만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의존도 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러시아연방 관세청에 따르면, 러시아의 2014년 PET필름 수입량은 전년대비 7.1% 성장한 총 719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량 측면에서 보면 2만5700톤으로 전년대비 11.7% 성장했음.

 

러시아 주요국별 PET필름 수입액 통계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52,822,661

67,133,585

71,900,336

100.0

100.00

100.00

7.10

1

벨라루스

0

9,624,297

12,687,079

0.00

14.34

17.65

31.82

2

아랍에미리트

839,213

1,674,533

12,111,516

1.59

2.49

16.84

623.28

3

폴란드

3,511,295

12,743,959

8,654,293

6.65

18.98

12.04

-32.09

4

인도

13,556,919

7,639,725

6,880,698

25.66

11.38

9.57

-9.94

5

중국

7,460,033

5,993,912

6,019,206

14.12

8.93

8.37

0.42

6

독일

8,833,192

8,321,814

5,391,007

16.72

 12.40

7.50

-35.22

7

터키

3,790,615

4,598,689

5,305,799

7.18

6.85

7.38

15.38

8

대한민국

3,801,830

3,843,679

4,274,524

7.20

5.73

5.95

11.21

9

대만

1,859,490

1,323,468

1,463,792

3.52

1.97

2.04

10.60

10

이집트

1,399,750

2,039,281

1,462,619

2.65

3.04

2.03

-28.28

주: HS Code 392062(Plates, Sheets, Film, Foil and Strip Of Plastics, Not Self-Adhesive, Non-Cellular, Not Reinforced Etc., Of Polyethylene Terephthlate)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러시아 주요국별 PET필름 수입량 통계

            (단위: 톤, %)

 

국가

수입량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8,746

22,978

25,674

100.00

100.00

100.00

11.73

1

아랍에미리트

364

783

5,368

1.94

3.41

20.91

585.85

2

폴란드

1,470

5,416

3,591

7.84

23.57

13.99

-33.69

3

인도

6,078

3,213

3,185

32.42

13.98

12.40

-0.90

4

벨라루스

0

2,310

2,872

0.00

10.05

11.19

24.36

5

중국

2,865

2,521

2,554

15.28

10.97

9.95

1.30

6

터키

1,228

1,614

1,930

6.55

7.03

7.52

19.55

7

대한민국

1,520

1,540

1,705

8.11

6.70

6.64

10.70

8

독일

2,376

2,153

1,256

12.67

9.37

4.89

-41.66

9

대만

807

593

676

4.30

2.58

2.63

13.96

10

이집트

618

898

593

3.30

3.91

2.31

-33.93

주: HS Code 392062(Plates, Sheets, Film, Foil and Strip Of Plastics, Not Self-Adhesive, Non-Cellular, Not Reinforced Etc., Of Polyethylene Terephthlate)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 인도는 자국회사인 Flex Films사, Polyplex사, SRF Limited사 덕분에 대러시아 PET필름 최대 수출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함. 인도 뉴델리에 본사를 둔 Flex Films사는 러시아에서 PET필름의 총 수입량 중 약 38%를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남. Flex Films사는 폴란드, UAE, 이집트 등의 자사 생산공장으로부터 러시아로 PET필름을 공급하고 있으며, 2014년의 경우 대러시아 수출이 전년대비 약 35% 증가한 9500톤을 달성함.

 

러시아 수입 PET필름 적용 분야 비중

 

 ○ PET필름 총 수입량의 약 21%는 연포장, 절연, 항부착성 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BoPET임. BoPET필름을 수입하는 러시아 기업은 Multiflex(21%), Amcor Flexibls Novgorod(18%), RSC Slava(15%), Danaflex NANO(12%) 등임.

 

 ○ 식품포장용 PET필름은 PET필름 총 수입량의 19%를 차지하고, 대부분 Hortek(St.Petersburg)와 RealUpack(Ivanovo) 기업에 공급되며 각각의 시장점유율은 41%, 36%임.

 

 ○ 금속 PET필름의 시장점유율은 PET 필름 총 수입량의 약 15%로 BoPET, 식품포장용에 이어 세번째임. 금속 PET필름은 각종 포장재와 장식용으로 사용됨. 금속 PET필름의 최대 수요기업은 Constantia Kuban(Constantia Flexibles Group 계열)사이며, 총 공급량의 23%를 소비하고 있음.

 

 PET 원부자재(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현지생산화 지속 중

 

자료원: http://ipekgeridonusum.com

 

 ○ 2003년까지 PET 제품 생산의 주원료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러시아에서 생산되지 않았음. 2003년부터 Bashkortostan 지역 내 Polief JSC사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PET 과립제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수입의존도를 낮춰가고 있음.

 

 ○ 2010년 하반기에 Mari사(http://www.marnpz.ru/) 소유의 공장이 Kaliningrad 지역에 설립됐으며, 이 공장은 독일 Uhde Inventa Fischer GmbH사의 PET 2R MTR 기술을 도입해 제품을 생산 중임.

  - 한편, 2011년부터 Kaliningrad 지역에 Alko-Nafta공장(http://www.ekopet.ru)도 가동되기 시작했으며, Kaliningrad 지역의 지리적 이점상 전체 생산의 60%는 EU로, 40%는 CIS로 수출 중임.

 

 ○ 러시아의 국별 수입통계 분석 시 주목할 만한 점은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고, 반면 한국 및 독일로부터의 수입은 그에 반비례해 수입이 급락하고 있다는 점임.

 

러시아 주요국별 수입액 통계(HS Code 390760 기준)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258,739,871

299,063,493

284,527,762

100.00

100.00

100.00

-4.86

1

중국

130,811,013

146,721,153

189,932,618

50.56

49.06

66.75

29.45

2

벨라루스

0

33,487,696

24,023,078

0.00

11.20

8.44

-28.26

3

대한민국

91,327,760

69,804,099

23,806,191

35.30

23.34

8.37

-65.90

4

리투아니아

5,607,587

10,330,284

12,184,314

2.17

3.45

4.28

17.95

5

아랍에미리트

5,757,950

7,292,183

7,429,600

2.23

2.44

2.61

1.88

6

독일

12,018,260

9,899,145

5,705,954

4.64

3.31

2.01

-42.36

7

이탈리아

1,814,372

3,270,832

5,466,976

0.70

1.09

1.92

67.14

8

인도

0

2,103,810

4,357,813

0.00

0.70

1.53

107.14

9

영국

4,834,927

4,852,281

2,457,090

1.87

1.62

0.86

-49.36

10

우크라이나

2,802,122

3,053,775

1,808,611

1.08

1.02

0.64

-40.77

주: HS Code 390760(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Primary Form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러시아 주요국별 수입량 통계(HS Code 390760 기준)

            (단위: 톤, %)

 

국가

수입량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59,017

192,410

207,134

100.00

100.00

100.00

7.65

1

중국

79,270

94,777

139,261

49.85

49.26

67.23

46.94

2

벨라루스

0

20,574

18,712

0.00

10.69

9.03

-9.05

3

대한민국

59,296

48,082

17,425

37.29

24.99

8.41

-63.76

4

리투아니아

3,460

6,387

8,261

2.18

3.32

3.99

29.34

5

아랍에미리트

3,762

4,654

5,500

2.37

2.42

2.66

18.18

6

독일

5,550

4,711

3,167

3.49

2.45

1.53

-32.78

7

인도

0

1,341

3,148

0.00

0.70

1.52

134.75

8

이탈리아

1,597

1,430

3,003

1.00

0.74

1.45

109.96

9

우크라이나

2,875

3,120

1,899

1.81

1.62

0.92

-39.12

10

아르메니아

0

423

1,427

0.00

0.22

0.69

237.57

주: HS Code 390760(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Primary Form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 한편, 러시아에서 PET 제품 생산의 또 다른 주원료인 텔레프탈산(terephthalic acid)을 생산하는 기업은 Bashkortostan 지역 내 Polief JSC사가 유일함.

 

 ○ Alians-Analitics에 따르면, 러시아 내 화학 대기업들이 텔레프탈산 생산을 고려 중이나, 러시아 내 생산이 늘어나더라도 2020년까지 최대 31만6000톤 정도밖에 커버가 되지 않아 2020년경 예상 수요치인 177만1000톤에 미치지 못해 향후에도 수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러시아 주요국별 수입액 통계(HS Code 291736 기준)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37,716,684

157,671,542

103,143,958

100.00

100.00

100.00

-34.58

1

대한민국

5,751,279

20,096,302

44,271,750

4.18

12.75

42.92

120.30

2

중국

0

1,820

20,489,405

0.00

0.00

19.86

3

폴란드

78,466,061

120,250,697

16,529,071

56.98

76.27

16.03

-86.25

4

브라질

0

2,981,250

16,238,087

0.00

1.89

15.74

444.67

5

벨기에

22,071,467

2,273,827

3,846,784

16.03

1.44

3.73

69.18

6

포르투갈

65,279

0

1,537,556

0.05

0.00

1.49

0.00

7

미국

0

141,376

220,691

0.00

0.09

0.21

56.10

8

벨라루스

0

0

7,246

0.00

0.00

0.01

0.00

9

터키

0

0

3,320

0.00

0.00

0.00

0.00

10

영국

31,362,597

11,926,230

48

22.77

7.56

0.00

100.00

주: HS Code 291736(Terephthalic Acid and Its Salt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러시아 주요국별 수입량 통계(HS Code 291736 기준)

            (단위: 톤, %)

 

국가

수입량

점유율

증감률

2012

2013

2014

2012

2013

2014

14/13

 

전 세계

115,634

135,597

103,755

100.00

100.00

100.00

-23.48

1

대한민국

6,174

17,768

45,768

5.34

13.10

44.11

157.59

2

중국

0

2

19,726

0.00

0.00

19.01

3

폴란드

65,338

103,419

16,584

56.50

76.27

15.98

-83.96

4

브라질

0

2,650

16,006

0.00

1.95

15.43

504.00

5

벨기에

17,982

1,988

3,974

15.55

1.47

3.83

99.94

6

포르투갈

53

0

1,535

0.05

0.00

1.48

0.00

7

벨라루스

0

0

136

0.00

0.00

0.13

0.00

8

미국

0

15

25

0.00

0.01

0.02

58.83

9

터키

0

0

1

0.00

0.00

0.00

0.00

10

영국

26,087

9,755

0

22.56

7.19

0.00

-100.00

주: HS Code 291736(Terephthalic Acid and Its Salts)

자료원: 러시아연방 관세청

 

PET 관련 제품 수입 제세

                        (단위: %)

HS Code

제품군

수입관세

부가세(VAT)

인증

390760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Primary Forms

4

18

Conformance certificate

392062

Plates, Sheets, Film, Foil And Strip Of Plastics, Not Self-Adhesive, Non-Cellular, Not Reinforced Etc., Of Polyethylene Terephthlate

6,5

18

Conformance certificate

550320

Synthetic Staple Fibers, Of Polyesters

0

18

Conformance certificate

291736

Terephthalic Acid And Its Salts

0

18

Conformance certificate

392330

Terephthalic Acid And Its Salts

6.5, 11.9

18

Conformance certificate

자료원: www.sigma-soft.ru

 

 시사점

 

자료원: http://krasnodar.openrussia.ru/users/115/11526/pics/it_11526_53349.png?409

 

 ○ 러시아 PET 시장은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임. 2014년의 경우 수요가 공급을 1.3배 앞섰으며, 총 공급시장 내에서 수입제품의 점유율은 34.1%였음.

 

 ○ 현재 PET 제품의 상당량을 중국, 대한민국, 벨라루스, 인도 등에서 수입하고 있으나, 점차 현지생산을 늘려가려는 움직임이 보임.  따라서 향후 생산 현지화를 위한 장비 및 기술, 원부자재의 수입은 꾸준히 늘어날 것이므로 한국산 PET 생산장비, 원부자재의 수출 기회는 지속될 것으로 보임.

 

 

자료원: www.pivnoe-delo.info, www.mrcplast.ru/pages/annual-reports.html, http://packboard.ru/, www.europlast.ru/, http://arpet.ru/, www.vsesmi.ru/, http://russia.sumitomo-shi-demag.eu, www.tps-group.ru/, http://arpet.ru/, www.alliance-analytics.ru/, www.sigma-soft.ru/, http://krasnodar.openrussia.ru/, https://ru.wikipedia.org/, http://ipekgeridonusum.com/, www.technicaltextile.net/, http://pozmir.ru/wp-content/, http://static.zebra.lt/, http://www.mrcplast.ru/pages/annual-reports.html, http://www.business.ru/article/338-pravila-prodaji-piva-s-2016, 러시아연방 관세청 및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