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슬로바키아 월간 경제 동향(2023.01.)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대사관 2023/02/24

I. 구분: 경제/통상/에너지 동향 보고 

II. 출처: 주재국 통계청 통계자료, 정부부처 공식 웹사이트, 언론 보도 등

III. 주요내용

1. 거시경제 지표 

ㅇ (경제성장률) 슬로바키아 국립은행은 2023년 슬로바키아의 경제성장률이 1.6%를 기록하고 2024년에는 공급망 해소와 인플레이션 완화로 2.9%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함.

ㅇ (경제심리지수) 12월 경제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1.2 포인트 증가하여 88.8 포인트를 기록. 이는 부동산 부문 서비스 수요 상승, 식품, 음료 및 담배 등 소매판매 활동 증가, 건설부문 수주 증가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

ㅇ (무역수지) 11월 무역수지는 약 8.2억 유로 적자 기록.

- 1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1.2%(약 95.6억 유로) 증가하여 14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한바, 특히 자동차를 포함한 기계 및 운송장비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해 7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2021년 5월 이후 가장 높음).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0.5%(약 103.8억 유로) 증가를 기록한바, 특히, 천연가스, 석유제품, 전기를 포함한 광물연료가 전년 동기 대비 73.7% 증가.

- 한편, 2022. 1-11월 간 총 무역수지는 32억 유로 적자(수출 948억 유로, 수입980억 유로)를 기록한바, 대EU회원국과는 흑자(약 148억 유로)를 거둔 반면, 비EU 회원국과는 적자(약 180억 유로)를 기록 .

※ 동 기간 총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한바, 대EU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7% 증가된 약 761억 유로로 전체 수출의 80.3%, 비EU 회원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된 약 187억 유로로 전체 수출의 19.7%를 차지.

※ 반면,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4.3% 증가한바, 대EU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한 약 613억 유로로 전체 수입의 62.6%를, 비EU회원국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한 약 367억 유로로 전체 수입의 37.4%를 차지.

ㅇ (산업생산량) 11월 산업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8% 감소하며 계속적인 하락세. 15개 모니터링 부문 중 11개 부문 감소, 4개 부문 증가.

- 운송수단 생산(-8.7%), 고무와 플라스틱 제품 생산(-17.6%), 금속 및 금속가공제품 생산(-14.7%), 기계 및 장비 생산(-5.8%)가 감소한 반면, 전기 장비 생산(+6.6%), 코크스 및 석유 제품 생산은 소폭 증가. 

- 2022. 1-11월 간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바, 광업과 에너지 부문의 생산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침.

ㅇ (소매 판매) 11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하여 4개월 연속 하락세.

- 소매 판매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의 매출이 1.7% 감소하였고, 가구, 전자상가 등 생활용품 판매점 매출 및 문화·레저용품점 매출도 각각 8% 이상 감소한 반면, 신발, 직물, 약국과 같은 전문 매장 매출은 5.6%, 주유소 매출은 6%, 자동차 및 오토바이 판매 및 수리 매출은 15.2% 증가.

ㅇ (물가상승률) 12월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5.4% 상승하여 2000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 주재국 최근 인플레이션 동향(전년 동월 대비) : 2022.1월 8.4%, 2월 9%, 3월 10.4%, 4월 11.8%, 5월 12.6%, 6월 13.2%, 7월 13.6%, 8월 14%, 9월 14.2%, 10월 14.9%, 11월 15.4%. 

- 가공식품(+29%), 빵과 곡물(+26.2%), 우유, 치즈, 계란(+37.7%), 육류(+30.1%), 주택 및 에너지(+16.8%) 등이 물가상승에 크게 영향을 줌. 

- 2022년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2.8% 증가.

- 슬로바키아 국립은행은 주재국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 지원 및 각종 물가안정 정책, 향후 에너지 가격 인하 등을 고려, 인플레이션이 2023년에는 10%, 2024년 8.7%, 2025년 3.6%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

ㅇ (실업률) 12월 실업률은 5.9%(전월 대비 0.07% 포인트 증가, 전년 동기 대비 0.86% 포인트 하락)를 기록. 2022년 평균 실업률은 6.31%로 전년 대비 1.16% 감소.

- 2022년 12월 주재국내 외국인 근로자 수는 총 8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약 2만 명(전월 대비 522명) 증가. 1위 우크라이나인(33,419명, ▲72%), 2위 루마니아인(11,025명, ▲57%), 3위 체코인(6,514명, ▲8%), 4위 헝가리인(5,575명, ▲9%), 5위 세르비아인(3,826명, ▲6%) 순으로 나타났고, 한국인은 276명(▲4.7%).

2. 주요 경제 동향

가. 주재국 정부 부채 감소 추세

ㅇ 주재국 VUB 은행 경제전문가는 부채및유동성관리국(ARDAL)의 월별 자료를 바탕으로 주재국의 2022년 정부 부채가 EU SGP상 건전재정 기준(GDP 대비 60%)을 충족하는 GDP의 59.8%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

※ 2021년 주재국 정부 부채는 GDP의 62.2%.

- 2023년 높은 정부 예산 적자(GDP의 6.4%)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높은 지급 준비금(GDP 7-10%)과 2023. 2월 만기가 도래하는 정부 채권(30억 유로, GDP의 2.8%) 상환 등으로 인해 2023년에도 정부 부채가 GDP의 59.2%를 기록, 60%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나. 주재국 에너지 요금 상승 대응 동향

ㅇ 지난 12.1. 주재국 정부가 에너지 요금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 등 경제단체들 대상 보조금 지급을 결정하고 동 보조금 신청을 12.22.까지 접수한바, 총 19,280건이 신청되었으며, 이 중 13,631건이 승인되어 약 7,700만 유로를 지원함.

- 또한, 2023년 상반기 중에 보조금 지급을 다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지난 12월 조건과 동일하지만 경제단위 당 한도가 기존 월 10만 유로에서 20만 유로로 늘어날 예정).

다. 자동차시장 동향

ㅇ 슬로바키아자동차산업협회(ZAP)는 주재국내 12월 승용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04% 증가한 6,449대라고 발표. 

- 1위 슈코다자동차(19.21%), 2위 도요타자동차(12.41%), 3위 현대자동차(11.37%), 4위 기아자동차(10.23%) 순서.

ㅇ ZAP은 2022년 주재국내 신규 승용차 판매가 2021년에 비해 4.1% 증가한 78,841대라고 밝힘.

- 이 중 주재국내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 i30.

ㅇ ZAP은 2022년 주재국내 자동차 연간 생산량이 약 100만대로 인구 1,000명당 184대를 생산하여 세계 1위를 유지하였다고 발표.

- 2022년 슬로바키아 전체 산업 생산에서 자동차 제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50.3%.

- 또한, 자동차 산업은 2022. 1-11월 간 국가 전체 수출의 약 42%(약 400억 유로)를 차지.

ㅇ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 공장은 2022년 311,000대의 자동차를 생산하여 전년 대비 1.1% 증가한바, 이 중 스포티지 모델이 57%를 차지. 끝.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