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수입대체정책 추진, 일부 수입산 종자 수입 제한 조치 고려 중
러시아 KITA 2023/03/21
자료이용안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요내용
러시아 파트루셰프 농업부 장관은 對러 제재 상황에서 농업생산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산 종자, 장비 등의 부족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바, 수입대체 가속을 위한 일부 수입산 종자 수입 제한 등 조치 고려 중이라고 언급
□ 러시아 수입대체정책 추진, 일부 수입산 종자 수입 제한 조치 고려 중
ㅇ 러시아 파트루셰프 농업부 장관은 對러 제재 상황에서 농업생산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산 종자, 장비 등의 부족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바, 수입대체 가속을 위한 일부 수입산 종자 수입 제한 등 조치 고려 중이라고 언급
- 향후 2년 내 해바라기씨 종자는 자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옥수수 종자는 러시아연방 과학기술프로그램 사업을 통해서 새로운 종자 개발 계획
- 현재 러시아 시장에서 사탕무 종자와 감자 종자의 수입 비중이 각 97%, 91%로 향후 수급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
ㅇ 對러 제재 하 해외 농기계 기업의 러시아 시장 철수에 따른 수급 불안으로 러産 농기계 가격 급등
- 농기계 대부분이 수입산이기 때문에 부품은 계속 수입해야 하는 상황
* 출처 : 러시아 언론사 (kommersant.ru)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러-우 사태 전후 우크라이나 철강산업 돌아보기 | 2023-03-20 |
---|---|---|
다음글 | 러시아 2月 자동차 판매량, 전년 대비 62% 감소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