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도미니카공화국 중고 자동차 수입 규제 강화, 신차 수입 한국 점유율 1위 고수

중남미 일반 KOTRA 2024/06/14

대통령령 420-23, 차령 경과 차량 수입 규제 강화

신차 수입 한국차 점유율, 세단 1위, SUV 2위

우리 차 신차 시장 점유율: 세단 1위, SUV 2위



승용차(세단)는 전체 112만2336대가 등록돼 있으며 이 중 신차를 포함한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하 승용차는 1만1321대다. 총 26개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으며, 우리 차는 전체 운행 차량의 17.7%(19만8960대)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상 경과한 노후 차량을 포함한 비중이다. 또한 우리 차의 시장 점유율은 신차와 생산된 지 5년 미만의 차량을 더한 경우와 신차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37.9%, 46.6%로 모두 1위다. 시장점유 1위 브랜드는 Toyota로 전체 등록 차량 중 29.6%,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하 승용차 중 6.4%를 차지하고 있다.



SUV(현지 분류명 JEEP)는 전체 67만8470대가 등록돼 있으며 이 중 신차를 포함한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하 SUV는 7만3846대다. 총 22개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으며, 우리 차는 전체 운행 차량의 16.5%(11만1708대)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상 경과한 노후 차량을 포함한 비중이다. 또한 우리 차의 시장 점유율은 신차와 생산된 지 5년 미만의 차량을 더한 경우와 신차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23.4%, 26.8%로 모두 2위다. 시장점유 1위 브랜드는 Toyota로 전체 등록 차량 중 17.9%, 생산 연도 기준 5년 이하 SUV 중 16.3%를 차지하고 있다.


중고차 수입자 승인 및 차령 경과 차량 수입 제한 강화



2023년 9월 대통령령 420-23을 공표하며 차량 등록 및 수입자 규제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차량을 수입하기 위해 5년 동안 유효한 수입자 라이선스를 발급받아야 하며 (i) 조작된 주행 거리계가 있는 차량, (ii) 법으로 금지된 경우에 해당되는 수입 및 운행이 금지된 차량, 예를 들어 운전대 반대 방향 차량, 구제 차량 또는 전손 처리된 차량 등, (iii) 원래 시장 또는 출처 국가에서 폐기돼 운행이 금지된 차량, (iv) 현지 시장에 차량을 들여오기 위해 정보, 문서 또는 진술을 조작한 차량을 수입한 업자는 라이선스를 박탈당할 수 있다. 또한 샐비지(Salvage) 조항을 신설해 차령 경과 차량의 수입 규제를 강화했다.



2024년 5월 22일 기준 https://dgii.gov.do/vehiculosMotor/Paginas/Licencias-autorizadas-vehiculos-motor.aspx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운영 라이선스를 취득한 310개 기업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 기업의 납품 및 진출 시 참고할 수 있다.



기타 도미니카공화국의 중고차 수입 규제 관련 법령은 다음과 같다.



ㅇ 법률 제4-07호

- 제2조: 관세 항목 87.02, 87.03, 8704.21 및 8704.31에 포함되며 사용 기간이 5년 이상인 자동차 및 기타 차량의 수입은 금지한다. 환경과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연료, 부품, 예비 부품 수입에 따른 외화 절약을 목적으로 한다.



ㅇ 법령 671-02호

- 제1조: 충돌, 침수, 화재, 재난 및 소위 "구난"으로 인해 원산지 국가에서의 유통에 적합하지 않은 자동차의 수입은 공공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고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협하므로 금지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2023년 말 기준 도미니카공화국 내 차량 등록 대수는 581만888대로 전년 대비 34만6892대가 증가, 6.3% 성장했다. 도미니카공화국의 자동차 시장 규모는 최근 10년간 연평균(CAGR) 6.1% 성장해 왔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4.5%로 감소했다가 다시 과거 성장세를 회복하며 코로나19 이후 3년간 연평균(CAGR) 6.3%의 성장을 보인다. 도미니카공화국 내 자동차 생산은 없으며 자동차 시장 전체는 수입차 시장으로 구성된다.


차종별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SUV가 9.2% 성장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오토바이(7.1%), 덤프트럭(6.8%) 등이 전체 증가율을 상회했다. 오토바이를 제외하면 2023년 가장 많이 등록된 차량 종류는 5만7179대가 등록된 SUV다. 도미니카공화국은 도로망이 부족하고 도로 상태가 열악하며 수도 시설이 구비돼 있지 않아 조금만 비가 내려도 도로가 침수되기에 전통적으로 SUV의 수요가 높아 시장 성장을 주도해 왔다. 열악한 교통 체증 문제와 배달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해 높은 오토바이 등록 수를 보여주며 또한 2021년 이후 지속돼 온 범국가적 인프라 재건 건설업으로 덤프트럭, 화물차 등 산업용 차량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국가별 차량 수입 동향



10인 이상 수송용 자동차



도미니카공화국의 국가별 ‘10인 이상 수송용 자동차’(HS Code 8702)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은 일본으로 2023년 말 기준 2780만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 시장의 5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위 수입국으로 수입차 시장의 27.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93.6% 증가한 수치다.


승용자동차와 그 밖의 차량



도미니카공화국의 국가별 ‘승용자동차와 그 밖의 차량’(HS Code 8703)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은 미국으로 2023년 말 기준 5억417만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 시장의 3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3위 수입국으로 수입차 시장의 8.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8.8% 증가한 수치다.


화물자동차



도미니카공화국의 국가별 ‘화물자동차’(HS Code 8704)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은 일본으로 2023년 말 기준 7268만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 시장의 1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8위 수입국으로 수입차 시장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53.4% 증가한 수치다.

관세율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수입품에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은 관세(3~20%), 개별소비세(3~14%), 부가가치세(ITBIS, 18%), 임시수입세(0.4%) 등이다. 현지 관세법(법률 14-93, 1993. 8. 4., Arancel de Aduana de la Republica Dominicana)상 세번 분류는 HS Code 8단위를 사용한다.


현지 주요 거래처



신차/중고차 수출 및 자동차 부품류 수출을 위한 현지 주요 파트너사(수입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시사점



도미니카공화국의 차량 수요가 신차 및 낮은 생산 연도의 중고차로 이동하고 있으며, 노후 차량의 수입 및 현지 등록 등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현지 최대 신차 수입상 Magna Motors(BMW, 현대 등 수입)와 KOTRA 산토도밍고 무역관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열악한 도로 상황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침수로 인한 SUV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의 중소형 차량 및 SUV가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한다. 우리 신차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어 신차, 부품 및 악세서리 중심으로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GTA), 도미니카공화국 국세청(Dirección General de Impuestos Internos, DGII), 도미니카공화국 관세청(Direccion General de Aduanas, DGA), 도미니카공화국 중고차 수입업자 협회(Asociación de Importadores de Vehículos Usados, ASOCIVU), KOTRA 산토도밍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2024년 멕시코 광산업 정보 2024-06-14
다음글 2024년 콜롬비아 커피 산업 정보 2024-06-1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