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나이지리아 냉동어류 시장 동향

나이지리아 KOTRA 2021/05/10

- 늘어나는 인구로 냉동어류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 -
- 수요에 비해 부족한 인프라로 수입에 의존 -


상품명 및 HS코드 
냉동어류(HS 코드 : 030389)

시장동향
나이지리아의 어류산업은 국내 GDP의 약 4.5%를 기여할 정도로 현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이다. 어류에 대한 총 수요는 연간 약 360만 톤이며, 현재 나이지리아 현지에서 약 110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나머지 250만 톤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산 시장의 90%는 냉동어류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냉동어류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나머지 10%는 훈연이나 건조 형태로 유통 된다. 산업 특성상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보관 및 이동 수단이 부족한 현지 사정을 고려하였을 때 냉동하여 유통하는 것이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나이지리아는 현재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냉동어류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출입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수입동향
2016년 755만 달러 선에 불과했던 나이지리아 냉동어류 수입액은 2017년 2,164만 달러까지 대폭 상승하였으며, 2018년에 다시금 하락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2020년까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9년 대비 2020년의 증감률은 4.58%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도 냉동어류에 대한 수입규모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5개년 나이지리아 냉동어류(HS: 030389)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
자료 : Trade Map


HS 코드 030389 기준, 주요 수입국으로는 모리타니, 노르웨이, 스페인, 칠레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대한국 수입은 집계된 게 없다.

최근 5개년 나이지리아 냉동어류(HS: 030389)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자료 : Trade Map


경쟁동향
나이지리아는 어류에 대한 수요에 비해 부족한 인프라와 기술로 자국 생산보다는 수입에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현재 나이지리아 어선들은 최대 수심 50미터까지 어획활동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요구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나이지리아는 중국, 일본, 미국을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어류 수입 규모가 큰 국가로, 현지에서는 냉동어류 수입 및 유통 업체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간편식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냉동식품의 수요도 자연스레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냉동어류는 약 2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한다.

냉동식품 수요도
자료 : Grand View Research


나이지리아 대표 냉동어류 수입 및 유통 업체
자료 : 라고스무역관 자료 종합


유통구조 및 관세율
나이지리아 냉동어류는 주로 생선 잡이 현장이나 근처 수산물 시장에서 유통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 외에도 대형 마트나 슈퍼마켓에서도 판매가 이루어진다. 아직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냉동상품의 이점을 살려 온라인 유통도 활성화되는 등 유통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나이지리아로 수입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인 National Agency for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Control(NAFDAC)을 통해 인증을 받아야하며 HS 코드 030389 기준, 관세율은 10%, 부가가치세는 7.5% 적용되고 있다.

나이지리아 디지털 카메라(HS 코드: 8525) 수입 관세
(단위: %)
자료 : 나이지리아 세관(NCS)


관련 전시회

자료 : 라고스무역관 자료 종합
 

시사점
나이지리아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인구로 어류 및 해산물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냉동 어류에 대한 수입 규모 또한 매년 늘어나고 있다.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국민의 전체 식사 비중의 10%는 어류가 차지하고 있으며 육류와 가금류보다는 어류가 선호 된다고 한다. 이처럼 냉동어류에 대한 시장이 활성화 되어있으며, 단순히 생선을 냉동한 제품이 아닌 가공을 통한 간편식이나 통조림 형태의 제품도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관련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된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외식보다는 집에서 요리해먹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며 소비자층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가격과 특색 있는 제품으로 현지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진출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자료원: Trade Map, NCS, Grand View Research, 라고스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2021년 나이지리아 섬유 산업 정보 2021-05-21
다음글 나이지리아 자동차 필터 시장동향 2021-07-1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