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UAE 프린터 시장동향

아랍에미리트 KOTRA 2023/10/30

페이퍼 리스 정책에 따라 주춤했던 수요, 러-우 전쟁 기인 유입인구로 한시적 증가

시대의 변화를 맞아 제품 개발 통한 고객 니즈에 맞는 솔루션 발굴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자동자료처리기계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그 밖의 기기

 

ㅇ HS Code : 844332

 

시장 동향

 

프린터와 복사기를 포함하는 UAE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은 지난 수년간 이어진 페이퍼 리스(Paperless)* 움직임에 따라 주춤해왔다. 페이퍼 리스 정책은 UAE 연방정부, 토후국 정부 및 민간기업 등 다양한 주체가 도입, 실행하고 있으며 특히 2021년 종이 없는 정부를 선언한 두바이 토후국 정부의 움직임은 매우 강경한 편이다. 매년 10억 장의 인쇄물이 행정처리 과정에 사용되었는데, 이를 전면적으로 없앤 것이다.

* 종이문서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변환, 종이 없는 사무실을 지향하는 현상

 

그럼에도 러-우 전쟁에 기인한 러시아 인구와 러시아 비즈니스 유입이 대폭 확대되면서 신규 비즈니스 개소가 급증한 점은 프린터 수요에도 일시적인 반등을 가져왔다. 특히 업무용으로 다기능을 보유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잉크젯이나 레이저프린터에 비해 높은 상황이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UAE에서는 27만4000여 대의 프린터가 판매될 것으로 추산되며 전년의 24만5000대 대비 12.1% 증가할 전망이다. 판매액을 기준으로 하면 2023년 판매액은 1억130만 디르함(약 368억 원) 수준으로 전년도 9800만 디르함(약 360억 원) 대비 3.4%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9-2023년 프린터 제품 판매 동향> 

(단위: 천 대, 백만 디르함)
[자료: Euromonitor]

 

판매액을 기준으로 향후 전망을 살펴보면,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5.9%로 시장의 점층적인 축소가 예견되는 시점이다.

 

<2024-2028년 프린터 제품 판매 동향(전망)> 

(단위: 천 대, 백만 디르함)
[자료: Euromonitor]

 

수입동향

 

ㅇ 對 세계 수입

 

HS Code 844332기준, UAE 프린터 주요 5대 수입국은 중국, 네덜란드, 필리핀, 베트남, 독일로 나타났다. 2022년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6246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27.5%에 달했으며 수입액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대폭 늘어나 2년 사이에 100% 이상 증가했다. 제2대 수입국인 네덜란드로부터의 수입은 2022년 기준 2968만 달러로 전체의 13.1%, 제3대 수입국인 필리핀으로부터의 수입은 2522만 달러로 전체의 11.1%를 차지했다.

 

2022년 UAE의 총 수입액은 전년대비 9.0% 증가한 2억2694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UAE 프린터 수입현황>

(단위: US$ 천, %)
주 1 : HS Code 844332 기준, 입수가능 최신 통계

주 2 : UAE 차원에서 최신 통계를 발표하지 않는 바 UAE로 수출한 국가의 수출액을 통한 수입 현황 산정

[자료: Global Trade Atlas]



ㅇ 對 한국 수입

 

2023년 1월~ 8월 누계 기준, UAE의 對 한국 프린터 수입액은 451만 달러로 2022년 연간 수출액인 427만 달러를 초과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42.3% 급증하였다.

 

<한국의 對UAE 프린터 수출동향>

(단위 : 천 달러, %)
주 1 : HS Code 844332 기준

주 2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 KITA] 



경쟁 동향

 

컴퓨터와 프린터 등 주변기기를 포함했을 경우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브랜드는 우리나라의 삼성으로 판매액 기준 약 1/5에 달한다. 이어 2위인 레노버(Lenovo)와 3위인 에이치피(HP)의 점유율은 한 자릿수 차이만을 보이며, 두 브랜드의 점유율은 30%를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다.

 

프린터만 단독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에이치피(HP), 캐논(Canon), 엡손(Epson), 브라더(Brother) 4개의 브랜드가 시장 내 주요 강자로 평가되나 정확한 점유율은 파악된 바 없다.

 

<현지 유통 주요 제품>

(단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주 1 : 사무실 사용 목적으로 현지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은 모델을 Sharaf DG가 추천한 모델

주 2 : 10월 5일 기준 1AED=367.7원

[자료 : Sharaf DG]

 

유통구조

 

UAE 진출 방법은 크게 직접 현지 법인을 설립하거나 현지 유통사(디스트리뷰터)를 지정하는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글로벌 기업 위주로 현지 프린터 시장이 운영되는 바 대부분의 경우 현지 법인을 통해 현지에 진출해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주변기기의 경우 80%가 오프라인 유통망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이중 가전제품 종합매장, 하이퍼마켓이 각 1/3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가전제품 종합매장으로는 샤라프 디지(Sharaf DG), 이멕스(Emax), 점보(Jumbo), 에로스(Eros), 이시티(Ecity) 등이 있으며, 프린터를 판매하는 주요 하이퍼마켓 체인으로는 까르푸(Carrefour), 루루(Lulu)가 있다.

 

<주요 유통구조 도식화>
A diagram of a company 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관세 및 인증

 

ㅇ 관세

 

UAE 연방관세청이 HS Code 844332 하위 품목에 부과하는 관세는 0%이다.

 

ㅇ 인증

 

산업 첨단 기술부인 MoIAT(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가 규정하는 강제 인증 제도인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는 프린터를 저전압 기기(Low Voltage Equipment)와 유해물질 제한지침인 로하스(ROHS) 규제 품목에 포함하는 바 UAE 수입과 역내 유통을 위해서는 ECAS 인증* 획득이 필수다. 프린터 제조 및 수입업자는 UAE 수입과 유통 이전에 반드시 ECAS를 획득해야 하며, 통관 및 유통과정에서 인증서 제출을 요구받을 수 있다.

* UAE 적합성 인증인 ECAS는 규제 품목의 생산·수입업자가 해당 품목을 UAE 내 유통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제 인증제도로 해당 제품이 국민의 안전이나 환경에 무해한지, 국제 기준에 합당한지를 평가하는 규격 기준임.



시사점

 

UAE는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 위기라는 극단적인 어려움은 피했지만, 인플레이션이 급여에 반영되지 않는 점이 시간을 두고 누적되면서 역내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높은 인플레이션이 결국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면서 현지 소비자들은 더욱 신중한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특징은 컴퓨터를 포함한 프린터, 모니터 등 주변기기 구매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재택근무의 종료로 개인 소비자의 신규 구매 유인이 줄어들었으며, 학생이나 일반 소비자들은 점차 디지털 문서에 익숙해지고 있다. 정부나 기업들 또한 ESG의 일환이자 정보 보안의 목적으로 페이퍼 리스(Paperless)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는바 프린터는 이제 시대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맞이하고 있다. 



프린트기 업체 A사에 따르면 페이퍼 리스 정책으로 전통적인 프린트 수요가 줄어들 수 있으나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라벨, 식당 마트 등에서 쓰이는 영수증 등 특수 목적 프린트들은 디지털로 전면 교체되기는 쉽지 않아 관련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UAE향 수출은 UAE 뿐만 아니라 인근 중동국가들로 재수출도 이뤄지기 때문에 인근국 수요까지 감안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기업들은 시대의 변화를 맞아 복합기능을 보유했거나, 특정 사용 환경에 적합한 제품 개발을 통해 다양한 고객 니즈를 충족할 방안을 고민해 보아야 할 시점이다.

 

 

자료 : Euromonitor, GTA, KITA, Sharaf DG, 현지언론 외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