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케냐 오르토프탈산디옥틸(DOP) 시장 동향

케냐 KOTRA 2024/01/03

DOP, 다양한 쓰임새로 제조업에 두루 활용되지만 케냐 시장 수요는 제조업 성장 둔화에 따라 정체

한국, 치열한 케냐 DOP시장 최대 공급처 수성을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이 관건

오르토프탈산디옥틸(DOP)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로 알려져 있다. 제조업체는 DOP을 활용하여 신발, 건축자재, 의료용품, 식품 포장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 케냐 제조업에서는 수입 DOP 비중이 지배적이며, 한국이 케냐의 최대 DOP 수입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최근 이어진 경기 불황과 수입 비용 상승의 여파로 수요가 줄었으나, 케냐 정부의 경제 부흥 및 제조업 육성 정책으로DOP 시장에 수혜가 예상된다. 한편, 중국과 베트남 같은 경쟁국가 업체가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어 우리 기업이 케냐 DOP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 강화가 우선 과제로 지목된다.

 

HS Code 및 상품 설명


시장 현황

 

오르토프탈산디옥틸(Di-Octyl Ortho Phthalates, DOP)는 높은 호환성, 유연성, 저온 적용성, 열 및 자외선 안정성, 휘발성 등 여러 유용한 특성을 가진 화학 물질이다. 제조업에서는 주로 가소제로 활용하고 있으며, 압출 시트나 필름용 비닐 수지와 함께 사용된다. 그 외에도 PVC 컴파운드, PVC 신발, PVC 튜브, PVC파이프, PVC 시트, 인조 가죽, 절연 케이블 코팅, 와이어 및 페인트에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DOP은 주로 제품 유형을 기준으로 일반등급, 전기등급, 식품등급, 의료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에너지, 활용성, 최종 사용자에 따라 세분화되기도 한다.

 

<제품 유형 기준 DOP 분류>
[자료: 나이로비무역관 자체제작]

 

케냐의 DOP 수요는 대부분 수입을 통해 충당하고 있다. 일례로, 케냐 신발 제조업체는 수입산 DOP을 주로 사용하며 소수 업체만이 케냐에서 생산된 DOP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년간 경제침체와 산업침체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수요가 감소했다.

 

시장 규모 및 트렌드

 

아래 제시된 그래프는 지난 6년 간 케냐의 총 DOP 수입 규모와 추세를 나타낸다. 2019년 DOP 수입액은 약 1천만 달러로, 전년도 약 1천 6백만 달러에 비해32.49% 급락했으나,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2021년에 비해 DOP 수입 규모가 소폭 감소했는데, 일부 소비자들이 DOP 대신 PVC 화합물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케냐DOP 총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자료: GTA]

 

수입 동향

 

아래 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케냐 상위 9개 수입국의 수입 통계를 보여준다. 2022년 총 수입액은 1435만 달러로 2021년 대비 14.9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케냐 제조업체와 같은 주요 소비자가 수입산 DOP을 다른 제품으로 대체한 영향과 더불어 전반적인 수입 비용이 증가에 따라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케냐 오르토프탈산디옥틸(DOP) 수입 상위 9개국>

(단위: 천 달러, %)
[자료: GTA]

 

<2022년 케냐 상위 수입국>

(단위: %)
[자료: GTA]

 

2022년 케냐 시장에서 한국은 고품질 강점을 내세워 34.17%로 가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29.21%, 중국이 24.36%, 베트남은 10.71%로 그 뒤를 따랐다. 최근 추세를 보면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는 반면, 중국과 베트남의 점유율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동향



아래 제시된 그래프에 따르면, 케냐는 2022년에 2021년 대비 32.8% 감소한 491만 달러 상당의 DOP을 한국에서 수입했다. 2018년에서 2022년 사이에 한국으로부터 DOP 수입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의 DOP 생산 업체 수가 줄어들며 DOP 생산 물량이 점차 감소한 것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한국으로부터 오르토프탈산디옥틸(DOP)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 GTA]

 

경쟁 동향

 

케냐에서는 Kenya Chemical Company가 주요 DOP 생산 업체로 손꼽힌다. 그러나 케냐 제조 업체들은 대부분의 수입 DOP를 사용하고 있어, 생산뿐 아니라 DOP공급과 수출을 겸하고 있다.

 

<케냐 주요 DOP 생산 및 공급 업체 목록>
[자료: Volza.com 및 각 사 홈페이지]

 

케냐의 수입 DOP시장은 Umoja Rubber Products이 86건으로 가장 많이 점유하고 있으며, Budget Shoes가 49건으로 2위, C & P Shoe Industries이 42건으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케냐 상위 DOP 수입업체 목록>
[자료: Volza.com 및 각 사 홈페이지]

 

유통 구조

 

케냐의 DOP 유통구조는 생산 업체에서 DOP 원료를 생산하면, 케냐 현지 수입 및 유통 업체 또는 직접거래를 통해 제조 업체로 공급되며 제조 업체가 최종적으로 제품 생산에 DOP 원료를 사용하게 된다.

 

<케냐 DOP 시장 유통 구조>
[자료: 나이로비무역관 자체제작]

 

세관 절차 및 인증

 

케냐로 DOP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사전 수출 적합성 평가(Pre-export Verify of Conformity at source, PVoC)를 통과해야 한다. PvoC는 공인 실험실 내 화학물질의 시료채취, 분석 및 시험, 선적 전 물리검사, 생산 공정에 대한 품질감사, 케냐 표준 적합성 평가, 규정 준수 관련 문서 검증으로 5개의 핵심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출 업체는 화물 선적 전 케냐 표준청(KEBS)의 인증을 받은 평가 대행 업체로부터 사전 수출 적합성 평가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 CoC)를 취득해야 한다. 수출 적합성 평가 인증서(CoC)는 화물의 통관에 반드시 필요한 서류이며, 수출 업체는 수입 업체에 CoC를 제공하여 수입허가를 받을 수 있다.

 

CoC를 발급받지 않고 수출 시에는 화물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세관에 보관되며, 벌금에 운임 및 보험포함 인도료(CIF)의 15% 및 평가 수수료가 합산되어 부과된다. 평가에 통과하지 못하면 화물이 반송되며 수출 업체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케냐 표준청(KEBS)은2022년 6월 22일 각 국가를 대상으로 사전 수출 적합성 평가(PVoC)를 재개했다. 현재 한국에서 케냐 표준청(KEBS)이 인증한 평가 대행 업체는 SGS(www.sgsgroup.kr) 한 곳이다. SGS는 선적 전 화물의 품질, 표시, 수량, 적재 및 포장 상태, 필수 표준 준수 여부, 계약 요구 사항 및 기술 사양 등에 대해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PVoC를 제공한다.

 

케냐로 화물을 수입하는 모든 정부 기관, 개인 및 기업은 단독으로 통관을 진행할 수 없으며, 반드시 대행 업체를 통해 통관을 진행해야 한다. 아래 제시된 모든 수입 절차가 완료되면 항구에서 화물을 반출할 수 있다.

-      통관 대행 업체 계약

-      화물 도착 고지

-      선하증권 제출

-      운송비용 지불

-      배송 주문서 접수

-      케냐 표준청(KEBS) 위탁 문서 수령

-      수입신고서(IDF) 제출

-      상선운송부담금 및 세금 납부

-      출입증 획득

-      수입 위생 증명서 신청 및 전자전표 발급

-      위탁 화물 확인

-      케냐 표준청(KEBS)에 증빙서류 제출 및 출고 확인증 취득

-      케냐 국세청(KRA)에 출고 확인증 제출

-      케냐 국세청(KRA) 온라인 출고 확인증 발급

-      케냐 항만청(KPA)에서 운송장 생성

-      최종 요금 지불

-      영수증 수령

 

구비서류

 

케냐에 수입되는 규제 대상 품목에 대해서는 반드시 수입 신고서(IDF), 사전 수출 적합성 평가(PVoC) 대행 업체의 인증서(CoC), 수출 업체의 유효한 정식 송장을 제출해야 한다. 수입신고서(IDF)에 필수로 기입해야 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출발지 및 도착지

-      통관유형번호(CPC)

-      화물의 수량, 유형 및 포장재

-      운송수단 및 비용

-      화물 가치 및 통화

-      인증서 및 라이센스

-      화물의 HS Code

 

수입 과세

 

케냐 국세청(KRA)은 수입 화물에 대해 HS Code기반 관세 및 동아프리카공동체(EAC) 공동 대외관세율을 적용하여 부과한다.

 

<DOP(HS Code 291732)에 대한 수입 관세 요약>

(단위: %)
[자료: Duty Calculator]

 

상기와 같이 수입세와 소비세, 수출세는 모두 세율이 0%이며, 부가가치세는 16%가 적용된다. 지난 7월 재정 법안(Finance Bill 2023) 시행 이후 수입신고수수료(IDF) 2.5%와 철도개발부담금(RDL) 1.5%가 적용되어 DOP 총 수입 관세는 20%가 부과된다.

 

전망 및 시사점

 

케냐 정부의 현지 제조업 증진 정책에 따라, 신발 산업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케냐의 신발 산업이 활성화되면 주요 원료인 DOP 수요가 늘어나 수입 물량이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경제 성장에 따른 인구 증가와 플라스틱 제품의 비용 효율성은 미래 DOP 시장에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많은 케냐 제조 업체들이 DOP을 PVC화합물로 대체하고 있어, 향후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 잠재적인 위협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한국이 케냐 DOP 시장에서 최대 공급처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베트남이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점차 늘려가고 있어, 케냐의 DOP 시장은 경쟁이 점차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기업이 케냐 DOP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DOP을 구매하는 대부분의 케냐 제조 업체는 선하증권 발행일로부터 90일 또는 120일로 연장된 인수인도 조건을 선호한다. 우리 기업은 타 국가 업체 대비 매우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해야 하며, 유연한 결제 조건을 제공할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 GTA, Volza, KEBS, Duty Calculator, 나이로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