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예멘 사태 장기화 국면 및 향후 전망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장윤희 KIEP 아중동팀 연구원 2015/11/04

첨부파일

 

■ 예멘 내 유혈 사태가 7개월째 이어지면서 교전 상황이 장기화 국면을 맞고 있음.

 

- 2015년 3월 사우디아라비아의 공습으로 교전이 본격화 된 이후 현재까지 사망자 수는 5,6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민간인이 2,615명으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함.
ㅇ 2015년 10월 26일 예멘 북부 사다(Saada) 지역에서 국제 의료구호 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운영하는 병원이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군의 공습으로 폭격을 받으며 인도적 참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

 

- 인도주의적 구호에 대한 국제 사회의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최근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 양측이 휴전 협상에 긍정적 신호를 보내며 UN 주재 평화 회담이 11월에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나 실질적 협상 가능성 및 협상 후 성과가 불투명한 상황임.
ㅇ 2015년 6월 예정되었던 평화 회담도 결렬된 바 있으며 협상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집권 세력의 약한 통치 기반으로 정정 불안 상황은 유지될 것으로 보임.

 

■ 다양한 세력의 이권 문제가 맞물려 사태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권력 및 자원 배분 불만 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예멘 갈등 요소의 한 부분으로 작용함.

 

-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는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 정부 연합과 알리 압둘라 살리흐 전 대통령 지지 세력과 결탁한 후티 반군의 대립을 중심으로 각 세력을 지지하는 지원국들의 참전이 이어짐.
ㅇ UAE,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등 걸프국과 이집트, 수단 등이 사우디아라비아 연합군에 합류하고 남부 분리주의 세력도 후티 반군에 맞서는 가운데 이란이 쉬아파인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종파 대립 양상을 띠게 됨.

 

- 취약한 통치력, 만연한 부패, 열악한 인프라 등의 문제를 겪는 상황에서 예멘 정부는 북부에 근거지를 둔 후티 반군 세력 외에 남부 분리주의 세력, 알카이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 등과 충돌이 있어 왔음.
ㅇ 살리흐 전 대통령 정권 하에서 자치권을 확대하기 위해 투쟁했던 후티 반군 세력은 하디 대통령이 제시한 연방제 계획에 반발하며 무력을 행사함.
ㅇ 남부 분리주의 세력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배제되었다고 주장하며 독립을 요구해 왔음.

 

■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예멘 경제 상황은 내전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예멘 사태

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주변국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

 

- 예멘 전체 인구의 80%에 해당하는 2,100만여 명이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2015년 실질 경제성장률은 -28.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ㅇ 2015년 4월 이후 석유 부문 생산이 거의 모두 중단되면서 원조 및 송금이 예멘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 내전의 장기화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이며 이집트는 바블만다브 해협의 안정화 여부에 따라 수에즈 운하 운영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임.
ㅇ 2015년 10월 27일 알리 알나이미 사우디아라비아 석유부 장관은 에너지 보조금 삭감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사우디아라비아 재정 압박이 심각함을 시사함.
ㅇ 바블만다브 해협은 홍해와 아덴만을 연결하는 주요 해협으로 최근 제2 수에즈 운하를 개통한 이집트에 있어 바블만다브 해협의 안보 문제는 주요 사안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BC(2015. 10. 27), "Yemen conflict: MSF hospital destroyed by air strikes"(검색일: 2015. 10. 29).
하디 대통령이 제시한 연방제는 예멘을 6개 연방(북부: 4개, 남부: 2개)으로 나누는 내용을 골자로 함.
IMF(2015), World Economic Outlook, p. 173. (October)
EIU(2015), Yemen Country Report, p. 5. (October 28)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