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 2019 중동 주요국 제조업 활성화 정책과 대응방안 : 비GCC국가 (터키, 이집트, 알제리, 요르단)

알제리 / 이집트 / 아프리카ㆍ 중동 기타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김현범 등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발간일 : 2019-10-28 등록일 : 2019-12-26 원문링크

□ 2030년 이후 경제를 위한 산업 다각화 노력 경주
 ㅇ 2030년 달성 목표의 장기 국가비전제시 및 대형프로젝트 추진
    * 사우디비전2030, 두바이산업전략2030, 아부다비경제비전2030, 카타르국가비전2030, 이집트 지속가능발전전략 2030, 쿠웨이트 국가비전 2035 등
 ㅇ 非탄소 분야 산업육성 통한 제조 기반강화와 일자리 창출 목적
 - 다양한 산업분야 특화 공단 및 경제 자유 지구 조성, 이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 활발
ㅇ 부품·원부자재 자체 조달 확대 등 수입대체 산업 육성 부각


□ 오일·가스 산업투자 확대 및 현지화(Localization) 추진 노력
 ㅇ 중동 산유국의 신규 오일·가스 밸류체인 투자 확대를 통한 재정 수입 증대 노력
    * 사우디 ARAMCO(’18년부터 10년간 4,140억 달러), 쿠웨이트 KPC(’18년부터 5년간 1,120억 달러), UAE 아부다비 ADNOC(’19년부터 5년간 1,324억 달러) 투자 계획
 ㅇ 연관 산업의 자국 경쟁력 강화 및 내수 경제 활성화에 기여 목표
 - 철강 및 금속제품, 비철금속 등 주요 수요 품목들의 자국 생산 장려
 - 현지 오일·가스분야 주요 발주처를 중심으로 한 로컬 컨텐츠(Local Contents: 자국산 제품·자국 서비스 구매) 비중 강화 등 규제 심화
    * 사우디(ARAMCO의 IKTVA), 아부다비(ADNOC의 ICV), 카타르(QP의 TAWTEEN) 등


□ 현지 중소기업·제조기업 투자 활성화 지원 기관과 유기적인 협력 필요
 ㅇ 현지 기업을 장기적 관점에서의 동반자적 협력의 대상으로 접근
 ㅇ 현지 파트너과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국내외 정책 지원 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금융 및 행정적, 제도적 혜택 수혜가능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